2017. 7. 19.

Linux find - 리눅스 파일 찾는 명령어

전체에서 파일찾는 명령어

abc 로 시작하는 파일을 리눅스 서버 전체에서 찾는다.
[root@ /]# find / -name 'abc*'


뒤에 -ls 를 붙이면 기본 ls -al 처럼 파일에 대한 설명도 같이 나온다(권한,시간 등등)
[root@ /]# find / -name 'abc*' -ls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찾을 경우는
find -name 'abc*'                 /를 제외하면 된다



abc다음 *을 붙이면 abc로 시작하는것을 전부찾는것이고

*abc면 뒤에 abc가 들어가는 모든것을 찾는다.

정확하게 찾는 파일에 이름을 안다면 할 필요없다.

2017. 7. 18.

push(), pop(), shift(), unshift()


자바스크립트 배열에 원소를 추가, 제거 하는 메서드에는
push(), pop(), shift(), unshift()      4개가 있습니다.

배열의 맨 앞에 원소를 추가하려면 unshift()

배열의 맨 뒤에 원소를 추가하려면 push()

배열의 맨 앞에 원소를 제거하려면 shift()

배열의 맨 뒤에 원소를 제거하려면 pop() 입니다.


팁을 드리면
push와 pop은 택시기사의 동전통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전을 넣을때는 push, 뺄때는 pop 비슷한 소리가 나는데 그 소리를 생각하라 배웠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원소를 추가하는 push와 unshift에 대한 기본정의입니다.

[1 , 2,  3]     --->            push('4')               --->       [1 , 2 , 3 , 4]

[1 , 2,  3]     --->            unshift('4')             --->       [4 , 1 , 2 , 3]

다음은 원소를 제거 하는 pop와 shift에 기본 정의입니다.

[1 , 2,  3]     --->            pop()                   --->      [1 , 2 ]

[1 , 2,  3]     --->            shift()                   --->      [2 , 3 ]



본격적인 코드는 자료구조의 필수개념인 Queue 와 Stack을 구현하며 사용해보겠습니다.

Queue =>
Stack   =>

2017. 7. 17.

maxlength , readonly

maxlength , readonly

maxlength , readonly는

HTML에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input type="text">

그안에 쓰이는 속성이다.

maxlength는 최대 글자수를 제한한다.

readonly는 수정 불가를 의미한다.

우선 input type="text"이다.

 
 
 
value안에 글을 넣으면 textbox안에 들어가고 바깥에 쓰면 사진처럼 옆으로 들어간다.
 
 

 기존 text에는 아무 속성도 주지않았기 때문에 글자수의 제한이 없다.



이때 maxlength속성에 값을 주면 글자수 제한이 들어간다. (!!! 특이점 : 제한이 들어가도 처음 value값은 출력된다.!!!)


 그후 수정시 2글자뿐이 들어가지 않는다 maxlength값이 2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여기에 readonly 속성을 추가하면 수정불가가 된다.




가장 기본적인 기능임에도 중요하게 적는 이유는

AJAX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넘길때 TEXT의 데이터를  DB데이터의 기준점으로 설정 할 수 있다. 

내가 넣은 value 값을 고정시킨후 그 값을 기준으로 update나 delete를 실행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콤보박스에 체크와 언체크의 데이터를 넘기려고할때 기준이 애매했는데 text에 value값을
readonly로 지정하여 쉽게 DB데이터에 기준을 만들었다.

주의점은 한글로 지정했을경우 웹에서 한글이 깨지면 기준점을 다시 지정해줘야하기때문에 한글을 기준으로 잡는것은 고민을 하는것이 좋다.




LANG

일반적으로 리눅스 콘솔(X-windows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서는 한글이 깨져 나온다.
또한 SSH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한글이 깨진다.

이럴 경우에 아래와 같이 수행하여 해결한다.


********************************

LANG=C 로 초기화 안시키고 KO_KR로 실행하면 오라클에서 문자가 깨져버림

(리눅스에 명령어만 한글로조금바뀜

1. 현재 설정된 인코딩 설정 확인
[root@localhost etc]$ echo $LANG
ko_KR.UTF-8

 

2. 인코딩 설정 해제
[root@localhost sysconfig]# unset LANG
[root@localhost sysconfig]# LANG=C

3. 사용 가능한 인코딩 설정 확인
[root@localhost etc]$ locale -a | grep ko
ko_KR
ko_KR.euckr
ko_KR.utf8
korean
korean.euc
ru_RU.koi8r
ru_UA.koi8u
tg_TJ.koi8t
uk_UA.koi8u

4. /etc/sysconfig/i18n 파일 수정
[root@localhost sysconfig]# vi i18n
#LANG="ko_KR.UTF-8"
LANG="ko_KR.eu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