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4.

명령어 설계

Posted in ,   with  No comments     Edit
명령어 설계 시 고려사항

명령어 설계 시 고려사항

연산자부
•수행해야 할 동작에 맞는 연산자를 표시함, 흔히 OP-Code부라고 한다.
•연산자부의 크기(비트 수)는 표현할 수 있는 명령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n Bit면 최대 2^n 개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드(Mode)부 : 주소부의 유효 주소가 결정되는 방법을 지정한다. 모드 비트가 0이면 직접, 1이면 간접이다.

자료부

•실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기억장소의 주소, 레지스터 번호, 사용할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주소부의 크기는 메모리의 용량과 관계가 있다.
•자료부의 길이가 n Bit 라면 최대 2^n개의 기억장소를 주소로 지정할 수 있다.

명령어 설계 시 고려사항

•연산자의 수와 종류 :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할 기능에 맞게 연산자의 수와 종류를 결정함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가 사용할 자료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함


•데이터 구조(워드의 크기) : 해당 컴퓨터가 시스템의 데이터구조에 맞게 명령어를 설계함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 기억 공간, 사용 빈도, 주소지정 방식

[출처]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 : 명령어의 구성|작성자 대기만성사나이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